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장인 경업금지 , 겸업금지 ? 뭐가 다를까?

by 톰과제리의 엄마 2024. 8. 30.
반응형

회사마다 다르긴 하지만 근로계약서 상에 겸업금지 혹은 경업금지 조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겸업금지와 경업금지는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근로계약서 속 경업/겸업 금지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겸업금지(겸직금지)란?

겸업금지 조항은 겸직금지라고도 불리는 조항으로, 이 회사에 다니는 동안은 본업 외 다른 일을 병행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실제 흔히 말하는 N잡, 부업등도 겸업 또는 겸직에 속하게 됩니다.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이유로 겸업을 금지하는 조항을 둔 회사들도 있습니다.

 

사실 법적으로는 회사에서 겸업을 금지할 수 있는 권리가 없습니다.

단, 기업에 손해를 입힐 수있으니 보안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제한적으로 근로계약서에 겸업금지 조항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무원은 소속기관장의 허가를 받아야 겸업이 가능하다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 15조 모든 국민은 직업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경업금지(전직금지)란?

반면 경업금지 조항은 퇴사 후 전직금지라고도 불립니다.

퇴사 후 같은 업종으로의 이직을 제한한다는 뜻입니다.

업계 특성상 회사의 업무 기밀이 경쟁하는 동종업계에 흘러들어 가면 치명적인 손해를 입는 경우, 유효성을 판단해 경업금지 조항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경업금지에 대한 판결의 유효성 판단 기준

- 회사에 보호할 만한가치를 지닌 사항인지

- 근로자의 퇴직 전 지위와 퇴직 경위는 어떤지

- 경업금지 조항의 기간, 범위를 잘 지켰는지

- 경업금지에 대한 대가 지급이 있었는지

 

사실 유효성 판단 기준 자체가 객관적인 기준은 아니다 보니, 회사와 근로자 간에 충돌이 생길 수 있는 부분입니다.

특히, 본인의 전공을 살려 취직한 회사라면, 동일 업계로 재취업하는데 큰 장애물이 될 수 있는 조항이기에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겠어로 사료됩니다.

 

비밀유지 약정도 중요합니다.

자신이 개발한 비밀 레시피라든가, 업무 노하우 등이 있는 사장님들은 이 비밀을 지키기 위해 직원을 고용할 때 근로계약서에 비밀유지약정을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과연 종이 한 장이 비밀을 유지시켜줄 수 있을까?

의문스럽기도 하지만 잘 작성한 비밀유지 서약서는 충분히 효력이 있습니다.

비밀유지 조항의 범위가 구체화된 경우나, 이 조항을 어겼을 경우 받을 수 있는 불이익이 기재된 경우 효력이 발생하기에 충분하니 계약서 작성 시 꼼꼼히 읽어두시길 바라겠습니다.

 

경업금지와 겸업금지의 차이, 이제 확실히 아셨나요?

실제로 고용주와 근로자 간에 근로계약서를 두고 분쟁이 생기는 경우가 꽤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근로계약서 내용을 이해하고 꼼꼼히 챙기는 것은 서로를 위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로계약서에 겸업금지나 경업금지 조항이 있다면 오늘 알려드린 유효성 기준 등을 잘 기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