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025년에는 취약계층 지원금이 확대된다고 합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 밖 청소년부터 저소득 한무도 가족,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부모, 중증 장애인을 부양하는 가구 등 어떤점이 달라졌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정 밖 청소년 자립지원수당 확대
청소년 쉼터에서 퇴소한 청소년들은 홀로 생계를 책임져야합니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기까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을 돕기위해 정부에서는 자립 지원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이 금액이 확대되고, 지원 대상범위도 넓어진다고 합니다.
청소년 쉼터 또는 청소년 자립지원관에서 보호받다가 만 18세 이후 퇴소한 경우, 퇴소일 부터 5년 이내라면 지원받을 수 있으니 상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2025년에는 이렇게 달라집니다
340명대상 -> 440명 대상
월 40만원 지급 -> 월 50만원 지급
저소득 한부모 가족 주거지원 확대
기존에는 출산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임산부들은 지원시설을 이용할 수 없었습니다.
이번 2025년 정책 변화로 이 부분이 완화되었다고 합니다.
위기 임산부와 취약 한부모 가족도 주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소 후에 마땅한 주거지가 없을 경우 입소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이렇게 달라집니다
중위소득 100%이하 가구만 입소->소득요건 없이도 입소 가능
출산 후 1년 이내 한부모 및 미혼자도 입소 대상 포함
LH 공동생활 가정형 매입 임대주택 지원 확대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
양육비를 지급받지 못하면 양육자가 경제적 부담을 홀로 떠안아만 합니다.
그래서 올해부터는 국가가 선 지급하고 비양육자에게 추후에 비용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양육비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양육비를 지급받아야 하지만 받지 못하는 경우,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비양육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기로 했습니다.
2025년에는 이렇게 달라집니다
자녀 1인당 월 20만원 지급(만 18세 이하까지)
중위소득 150%이하 가구 지원대상
중증 장애인 직계존속 부양 가구 근로장려금 지원 강화
기존에는 중증 장애인의 부양가족이 같은 주소지에 있어야만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요양원이나 병원에 머물면 주소지가 달라져 근로장려금 지원이 끊기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올해부터는 이부분이 개선되어 안정적으로 근로장려금을 수령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2025년에는 이렇게 달라집니다
중증 장애인이 요양원이나 병원에 머물더라도 부양가족으로 인정되어 근로장려금 수령 가능
지금까지 2025년 취약계층 지원금 제도 4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나에게 해당하는 내용이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확대된 지원을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